
최종 합격 일자는 2024.06.18 이지만 후기를 작성하러 왔습니다. 1. 실기 준비우선 저같은 경우는 정처기는 책이 다 거기서 거기인 것 같아서 젤 후기 좋은 수제비로 준비하였습니다.카페 글도 많았고, 자료도 많았기에 수제비 책을 선택했고, 처음에 한 번 쭉 정독하여 1회독 먼저 진행했습니다.저는 1회독 하면서 중요하거나 몰랐던 내용들을 한글이나 메모장으로 정리해두고 1회독이 끝난 다음 그것만 다시 훑어보는 방식으로 학습하였습니다. 이후 아래 수제비 사이트에서 기출문제나 모의고사 자료들이 정말 많아서 시간이 된다면 계속 문제만 풀었습니다.문제를 풀 때 실전처럼 시간을 재면서 푸는게 좋다고 생각했고, 틀리는 것만 틀리기에 풀자마자 오답정리를 추가로 하였습니다. 그래서 최대한 많이 푸는 게 제일 좋고, ..

1. 공부 방법 SQLD 같은 경우는 db를 간단하게 공부했던 적이 있어서 이를 바탕으로 구글링 해서 얻은 자료들만으로 학습했었습니다. 정리본과 기출문제들을 위주로 참고했었고 이론 먼저 파악한 후 문제를 풀어보면서 정리노트를 따로 만들어 공부하면 누구나 합격할 수 있을 것입니다. 기출은 기본적으로 풀 수 있을 만큼 다 풀어봐야 유형을 파악할 수 있기에 꼭 풀고 시험장에 가는 것을 추천합니다. 2. 합격 후기 1~2주 정도 공부했었고 저같은 경우는 sqld 범위 이상으로 파고들면서 공부하는 타입이라 오히려 시험장에서 문제들이 쉽다고 느꼈었습니다. 시험 범위만 공부하려 하지말고 모르는 게 있으면 파고드는 공부법이 제일 좋다고 생각합니다. 한 번은 짧게 도전해 볼만한 시험이라고 생각합니다. ( 자격증 관련 질..

1. 공부 방법 정보보안기사 필기 시험은 이번이 2회차 시험이다. 1회차 때는 리마1급과 시간이 겹쳐 2주 정도 공부했었는데 그 때는 알기사 책 1200제 문제를 풀면서 오답노트로 정리하며 나만의 정리 노트를 만들었었다. 그러고나서 바로 시험을 봤었는데 기본적인 베이스가 있었는지 59점으로 떨어졌었다. 그래서 그 다음 회차인 23년도 4회차 필기 시험을 봤다. 이 때는 1~2주 정도 공부를 했었는데 정처기와 준비를 같이 했었어서 1200제 중 600제만 풀고 알기사의 요약노트를 정독하고 시험을 보러 갔었다. 정보보안기사는 모든 이론이 합쳐진 느낌이라 꾸준히 보안 분야에서 공부하고 이론 시험을 봐야될 것 같았다. 지금껏 꾸준히 공부했어서 그런지 간신히 4회차 필기에 합격할 수 있었다. 1200제를 푼다고 ..

1. 공부 방법 정보처리기사 같은 경우 책을 구매했으나 졸업한 상태에서 봤던 터라 CBT 문제만 풀어보고 시험을 보았습니다. CBT 문제를 냅다 풀기에는 모르는 문항들이 많을 수밖에 없어서 간단하게 정리해 둔 카페나 블로그를 찾아서 정리본이나 요약본을 읽어보고 그 다음 각 과목별로 문제를 풀기 시작했습니다. 1과목 5개년 2과목 5개년 이런식으로 한 과목씩 유형을 파악하는 시간을 갖고 오답노트는 당연히 하면서 개념을 숙지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그리고 어느정도 유형이 보이기 시작하면 그 때부터 100문제를 한 번에 시간재고 풀었습니다. 이때 기출문제 순서는 과거 문제부터 푸는 것입니다. 그리고 나서 진짜 시험에 임한다고 생각하고 최근회차들을 풀면서 어떤 파트가 약한지 과목별로 정리하면서 공부하였습니다. ..

1. 공부 방법 리눅스마스터 2급을 이전에 취득한 후 리마1급에 도전하게 되었습니다. 우선 필기 같은 경우는 이기적 책을 1회독 하면서 정리해보는 시간을 가졌고 그 이후에 CBT를 통해 10개년 정도 문제를 풀면서 오답노트를 하고 시험 보기 3일 전은 그 오답노트 한 내용을 암기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그리고 바로 필기 합격 후 한 달이라는 시간 동안 실기 준비에 바로 들어가야 했습니다. 실기 같은 경우는 필기 때 공부했던 것과 별 다를바가 없었는데 아무래도 실습 유형의 문제들이다 보니 필기 때 공부했던 방식과는 다르게 직접 가상환경에서 설정해보면서 책에 있는 모든 실습 내용을 실전으로 설정하고 변경해보면서 손에 익혀나갔습니다. 실기에서는 Man 활용법만 잘 숙지하면 웬만한 문제들은 거의 다 풀린 것 같..

네트워크 관리사 2급은 난이도가 쉽다고 느꼈습니다. 그래서 필기는 간단하게 여러 문제들을 통해 기본기만 잡혀있으면 바로 붙을 수 있었고 실기 같은 경우는 케이블 작업 도구를 구매해서 여러번 반복해서 손에 익히는 시간을 가진 후 그 외에 문항들은 필기 때 공부했던 이론들과 함께 라우터 설정 문제가 전부였습니다. 이건 이전에 충분한 문제풀이와 실습 연습을 하면 붙을 수 있기에 도전하기 쉬운 난이도였습니다. ( 자격증 관련 질문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
1. 제시문제에서 설명하는 보안 기술을 입력하시오. 원격 호스트에 접속하기 위해 텔넷을 사용할 경우 스니핑을 이용한 패스워드 유출이 가능하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텔넷과 유사한 암호화 접속 방식을 말한다. 보안 등급이 낮은 네트워크 상에서 보안 등급이 높은 원격 접속 개시나 데이터 전송을 실현하는 프로토콜이다. 정답 : SSH, Secure Shell, 시큐어셸 IPv4 : 32bit, 유니, 멀티, 브로드캐스트 IPv6 : 128bit, 유니, 멀티, 애니캐스트 2. 제시문제는 사설망에서 사용하는 IP이다. (A), (B), (C)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을 고르시오. Class A 10.0.0.0 ~ 10.255.255.255 Class B 172.(A).0.0 ~ 172.(B).255...
[ 문제 1 ] XXX 는 네트워크 링크의 트래픽 모드를 모니터링 하고 측정하기 위한 무료 소프트웨어 MRTG (멀티 라우터 트래픽 그래프) [ 문제 2 ] 망 외부 공격자가 허용 가능한 범위의 IP 주소를 이용하거나 또는 허가 받은 외부 IP 주소를 이용하여 허가받은 사용자인 것처럼 행동하며 사내망에 대한 특정 자원을 액세스 할 수 있도록 이 사용자에게 허용하려 할 때 이루어진다. 공격자가 마치 기업망 접속을 허가받은 원격 사용자인 것처럼 위장할 수 있다. ip spoofing [ 문제 3 ] 네트워크상의 다른 컴퓨터에 로그인 하거나 원격 시스템에서 명령을 실행하고 다른 시스템으로 파일을 복사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응용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토콜. SSH [ 문제 4 ] 히스토리를 모두 지우는 명령어 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