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DNS에서의 TTL
- 데이터가 DNS 서버 캐시로부터 나오기 전에 현재 남은 시간이다.
netstat 명령 실행 시 제공하지 않는 정보
- IP 패킷이 목적지에 도착하기 위해 방문하는 게이트웨이의 순서 정보(이는 tracert(윈도)/traceroute(리눅)를 실행해야 함.)
ipconfig : 클라이언트의 Host Name,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DNS Server, 기본 게이트웨이 등의 설정 사항을 보여주는 명령어
netstat : 시스템의 네트워크 연결 목록을 보여주는 명령어
Sliding Window
- TCP 프로토콜에서 사용하는 흐름제어 방식
- 전송 메시지의 크기(수신측 버퍼의 크기)에 따라 윈도우의 크기를 조절하며 전송시키는 방식
Window 방식
- 전송 메시지를 일정 크기의 윈도우로 나누어 전송시키는 방식
응용계층 프로토콜
- NNTP, SMTP, FTP
TCP/IP 계층
- 1계층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
- 2계층 : 네트워크 계층(인터넷 계층
- 3계층 : 전송 계층
- 4계층 : 응용계층
IPv4의 헤더필드 중 Identification 필드
- 데이터를 상위 계층으로 전달할 때 데이터그램의 조각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하는 필드다.
- 송신 호스트가 지정하는 패킷 구분자 기능을 수행한다.
SSH
- SSH 인증에는 비대칭형 알고리즘(공개키)를 사용한다. 하지만 Skipjack 알고리즘은 대칭형 알고리즘이다.
2과목.
IEEE 802.3 - Ethernet
IEEE 802.4 - Token Bus
IEEE 802.5 - Token Ring
CSMA/CD
- 다른 송신자(Carrier)가 네트워크를 사용하고 있는지를 감지(Sense)하는 다중 접속(Multiple Access) 방식이다.
- 자신 외의 다른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사용하는지 점검한다.
- 네트워크를 아무도 사용하지 않는다면 바로 패킷을 전송한다.
- 패킷이 충돌하게 되면 노드는 충돌 신호를 전송한 후 설정된 시간만큼 기다린 후 바로 다시 전송한다.
CSMA/CA - 무선랜에 사용되는 방식으로 무선 네트워크에서는 충돌을 감지하기 힘들기 때문에 CSMA/CD 대신 CSMA/CA를 사용하는 것이다.
광통신(Fiber Optics)
- 전송 손실이 아주 적다.
- 광통신용 광섬유 케이블은 유리로 만들어져 깨지거나 끊어지기 쉽기 때문에 지하나 해저에 매립되는 경우가 많다.
- 주파수가 마이크로파보다 수만 배 높은 광파를 사용하므로 매우 많은 정보량을 장거리 전송할 수 있다.
- 비전도체(유리)이므로 습기에 영향을 받지 않고 타전자파나 고압선 전류 유도에 대한 방해를 전혀 받지 않아 송전선에 광섬유케이블을 함께 실어 실제 전송할 수 있다.
3과목.
IIS 관리자의 기능
- 웹 사이트의 기본 웹 문서 폴더를 변경할 수 있다.
- 기본 웹 문서를 추가하거나 기본 웹 문서들의 우선순위를 조정할 수 있다.
- 디렉터리 검색기능을 활성화하면 기본 문서가 없을 때 파일들의 목록이 나타난다.
보안템플릿
- 새로운 보안정책 작성 시 포함시키는 서비스
SHELL
- Linux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내린 명령어를 Kernel에 전달해주는 역할
네트워크 모니터링
- 성능 모니터의 리소스 모니터를 통해 네트워크 이용현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 작업 관리자의 네트워킹 탭을 통해 네트워크 이용현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 바이트 처리량이란 현재 연결 대역폭 중에 트래픽 송수신에 사용하는 비율이다.
SSTP(보안 소켓 터널링 프로토콜)
- VPN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토콜
아파치 서버의 기본 포트
- 아파치는 웹서버이기에 http인 80번 포트다.
IIS 기본 웹사이트 등록 정보의 필드
- IP 주소 : 사이트가 사용할 IP 주소를 기록하며 한 컴퓨터에 2개 이상의 IP가 할당된 경우는 IP의 접속 순서를 지정
- 연결 수 제한 : 웹서버에 연결할 수 있는 연결 수 제한을 지정
- 연결 시간 제한 : 웹서버에 접속 후 일정 시간 동안 움직임이 없으면 세션을 끊도록 지정
- TCP 포트 : 웹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포트 80번을 의미한다.
리눅스 시스템 종료 명령
- halt, shutdown, poweroff, init 0
4과목
브리지 : 네트워크를 확장하면서 충돌 도메인을 나누어 줄 수 있는 장비
Wireless LAN
- 동일한 Access Point에 여러 장비가 연결되는 경우 속도가 느려진다.
- 유선랜에 비해 일정거리 내에서 이동성에 대한 자유로움이 보장된다.
- 무선랜은 Access Point와 무선 단말기로 구성된다.
- 무선랜은 주파수, 속도 및 통신방식에 따라 ‘IEEE 802.11 a/b/g/n’ 등으로 정의 되어있다.
광섬유
- 신호 전달 거리가 길고 속도가 가장 빠르다.
'자격증 공부 > 네트워크관리사 2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2급 기출문제 오답 풀이(2017.07.16) (0) | 2022.02.18 |
---|---|
2급 기출문제 오답 풀이(2019.05.19) (0) | 2022.02.17 |
2급 기출문제 오답 풀이(2018.04.22) (0) | 2022.02.16 |
2급 기출문제 오답 풀이(2017.04.23) (0) | 2022.02.16 |
1급 기출문제 오답 풀이(2021.04.11) (0) | 2022.02.16 |
로딩중.....(버퍼링)
포스팅이 좋았다면 "좋아요❤️" 또는 "구독👍🏻"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