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2.16 2급 기출문제 / 1과목:100 2과목:90 3과목:83 4과목:80 총점:90
2과목
지연 왜곡 : 전송 매체를 통한 신호 전달 속도가 주파수의 가변적 속도에 따라 왜곡되는 현상
감쇠 현상 : 전송 신호가 전송 매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점점 신호 세기가 약해지는 현상
누화 잡음 : 상호 인접한 전송 매체의 전자기적 상호 유도 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잡음
상호 변조 잡음 : 서로 다른 주파수들이 똑같은 전송 매체를 공유할 때 주파수들의 신호의 차이로 발생
3과목
스왑 영역(Swap Space)
- 스왑 영역이란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메모리 양을 늘리기 위해 디스크 장치를 이용하는 것을 말한다.
- 스왑 파티션은 컴퓨터 메모리가 흘러 넘칠 때 댐의 역할을 한다. 메모리가 가득 차면 추가적으로 스왑 파티션에서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처리 속도는 메모리가 스왑 파티션보다 빨라 같은 처리속도를 갖지 않는다.
gpupdate : Active Directory 도메인 개체에 접근했을 때 기록이 남도록 감사 정책을 설정하였고 이를 시스템에 바로 적용하기 위한 명령어
gpresult : 그룹 정책이 최근에 컴퓨터에 적용된 시점과 컴퓨터에 적용된 GPO 및 그 순서에 대한 통계를 제공하는 명령절 도구
gptool : 그룹 정책이 제대로 동기화 되어 있는지 확인
커베로스
-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 또는 서버와 또 다른 서버 간의 인증 및 상호 인증을 제공하는 인증 프로토콜
- 동시에 키분배 센터(KDC)에 해당하며, 버전 5로 구현되어 있다.
- MIT에서 개발한 티켓 기반의 중앙집중적인 인증방법으로 대칭키를 사용하고 사용자는 티켓을 발급 받은 후 인증 서버에게 인증을 받는다.
라우터의 경로 배정 순서
1. 인터페이스를 통해 패킷을 수신한다.(패킷의 수신 : 길을 잃은 친구가 찾아오면)
2. 패킷의 목적지 주소 정보를 라우팅 테이블에서 검색한다. (목적지 확인 : 어디를 가야 되는지 물어보고)
3. 목적지 주소가 라우팅 테이블에 없다면 해당 패킷을 파기하고, 있다면 어느 인터페이스와 연결 되어 있는지 확인한다.(경로 확인 : 어딜 가야하는지 알았다면 가는 방법을 찾고)
4. 인터페이스가 결정되면 패킷을 해당 인터페이스로 전송한다.(패킷 전송 : 가야하는 곳에 데려다 준다.)
순환 잉여 검사(CRC – Cyclical Redundancy Check)
- 데이터의 오류를 검출하는 방법 중 가장 널리 사용하며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수행한다.
RAID0 : 스트라이핑 방식이며 중복이 안 된다.
RAID1 : 미러링
RAID2 : 해밍코드
RAID3 : Disk에 Parity 저장
RAID4 : 3과 유사하지만 Parity를 블록단위로 저장
RAID5 : 병목현상을 줄여준다.
'자격증 공부 > 네트워크관리사 2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2급 기출문제 오답 풀이(2020.08.23) (0) | 2022.02.22 |
---|---|
2급 기출문제 오답 풀이(2020.05.17) (0) | 2022.02.22 |
2급 기출문제 오답 풀이(2019.02.17) (0) | 2022.02.20 |
2급 기출문제 오답 풀이(2018.07.15) (0) | 2022.02.20 |
2급 기출문제 오답 풀이(2017.10.22) (0) | 2022.02.19 |
로딩중.....(버퍼링)
포스팅이 좋았다면 "좋아요❤️" 또는 "구독👍🏻"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