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공부/네트워크관리사 2급

2급 기출문제 오답 풀이(2018.04.22)

startonebyone 2022. 2. 16. 17:03

1단원

라우터에서 패킷의 목적지를 결정하는 방법

- IP 주소와 서브넷마스크를 AND 연산하여 Network ID를 도출해낸다

- AND 연산은 1+1=1 / 1+0=0 / 0+1=0 / 0+0=0이다.(두 숫자 중 하나라도 0이면 0이라고 간주한다)

 

Anonymous FTP

- 패스워드가 없이도 접속 가능한 공개 FTP를 말한다

- Anonymous FTP를 통해 송수신되는 파일의 종류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 , 폴더의 경우는 압축 파일의 형태로 전송한다

- 상대 컴퓨터의 계정 없이도 파일을 업로드하거나 다운로드 할 수 있다

- 비밀번호는 어떠한 것을 입력해도 상관없지만, 통상적으로 자신의 전자 메일 주소를 입력한다

 

MTU(Maximum Transmission Unit)

- 통과 가능한 유닛의 최대 크기를 의미한다

- IP 패킷은 네트워크 유형에 따라 전송량에 있어 차이가 나기에 적당한 크기로 분할하는데 이때 기준이 되는 것이 MTU이다

 

RIP

- 메트릭으로 유일하게 Hop Count만을 고려한다

- 송신지에서 수신지까지 데이터의 전달 경로를 도출해내는 프로토콜

- 수신지까지 거쳐가는 라우터의 대수(Hop Count, 홉수)만을 고려해 최단 경로를 결정

 

ARP 캐시

- 새로운 하드웨어가 추가되는 경우 갱신된다

- 각 호스트는 ARP Request를 보내기 전에 ARP 캐시에서 해당 호스트의 하드웨어 주소를 찾는다

- ARP 캐시의 수명이 유한하여 무한정 커지는 것을 방지한다

- 중복된 IP가 발견이 되더라도 갱신은 된다

 

CSMA/CD(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Detetion)

- 다른 송신자(Carrier)가 네트워크를 사용하고 있는지를 감지(Sense)하는 다중 접속(Multiple Access) 방식이다

- 네트워크를 아무도 사용하지 않는다면 바로 패킷을 전송한다

- 패킷이 충돌하게 되면 노드는 충돌신호를 전송한 후 설정된 시간만큼 기다린 후 바로 다시 전송한다

 

Bus Topology

- 버스 방식은 여러 대의 장비를 하나의 버스 회선을 통해 공유한다.

- 회선의 양 끝에는 터미네이터를 두어 시그널의 반사를 방지한다.

 

Transport 계층

- 사용자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바로 아래 계층에 해당하는 네트워크 계층에서 제공하는 데이터의 전송 품질을 고려한다.

- 네트워크 계층에서 제공하는 QoS(Quality of Service)를 고려하여, 사용자가 요구하는 QoS를 만족시킬 수 있는 가를 판단한다.

 

프로토콜의 기본 요소

- 구문, 의미, 타이밍

- 이 중 통신 속도 및 메시지 순서와 관련한 제어 정보는 타이밍이다

 

IEEE 802.11n : 주파수 2.4&GHz에서 평균 전송 속도 100Mbps, 최고 전송 속도 600Mbps를 제공한다

 

롤백 템플릿을 통해서 이전 상태로 되돌아갈 수 없는 항목은

- 파일시스템과 레지스트리

- 롤백 템플릿은 시스템 상태를 현재보다 이전 상태로 되돌리기 위해 설정해두는 특정 시점의 시스템 정보다

- 파일 시스템이나 사용자가 신규로 생성한 파일 등은 롤백의 대상이 아니며, 이전 상태로 되돌아간다 하더라도 그대로 유지된다

 

액티브 디렉터리의 여러 구성 단위들이 작은 것부터 큰 순으로 나열된 것

- 조직 구성 단위 < 도메인 < 트리 < 포리스트

 

Windows Server 2008 R2에서 기본 디스크를 동적 디스크로 변환해야만 할 수 있는 작업

- RAID 볼륨의 생성과 삭제

- RAID는 여러 개의 물리적인 디스크를 시스템적으로 하나로 묶어 마치 하나의 디스크처럼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과정

- RAID를 하기 위해서는 기본 디스크를 동적 디스크로 변환해야 한다.

 

파일 공유 설명

- hidden 공유의 경우에는 공유 이름 끝에 ‘$’가 붙는다.

- NTFS 권한과 공유 권한이 동시에 설정될 경우 NTFS 권한 설정 내용이 공유 권한 설정보다 우선한다.

- 드라이브의 등록정보 창에서 공유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명령창에서는 netuse로 확인한다.

- 공유 설정 시 디폴트로 주어지는 사용 권한은 보안상 안전하다.

 

파일 암호화

- NTFS 파일 시스템만 암호화가 가능하다

- 암호화된 파일은 한 사람만 사용이 가능하다

- 일반 백업 절차를 통해서 파일이 암호화 되지 않는다

- 암호화된 파일을 복구하고 싶으면 백업할 때 만들어 놓았던 인증서를 통해서만 복구가 가능하다

- 폴더를 암호화했을 때, 폴더 내 생성된 모든 파일은 그 시점에 암호화 된다

 

그룹을 이용한 작업관리에서 그룹에 대한 설명

- 글로벌 그룹은 로컬 도메인의 사용자만을 구성원으로 가지며, 권한 상속을 받아야 한다.(기본적인 권한이 부여되지 않음)

- 글로벌 그룹은 도메인 컨트롤러에만 만들어진다.

- 도메인 로컬 그룹은 모든 구성원 컴퓨터에서 각각 만들어진다.

- 도메인 로컬 그룹은 그 구성원 컴퓨터의 자원에 대해 권한을 부여할 때 사용된다.

 

RAID의 레벨

- RAID 2 : 해밍 코드 방식

- RAID 3 : DiskParity를 저장

- RAID 4 : 3과 같지만 Parity를 블록단위로 관리

- RAID 5 : 회전 패리티 방식으로 패리티를 배분시켜 병목현상을 줄임

 

BOOTP

- 네트워크 구성정보를 얻기 위한 프로토콜

 

네트워크 프로토콜

- NetBEUI : 수십대 규모의 로컬 네트워크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프로토콜

- TCP/IP : 인터넷에서 서로 다른 시스템을 가진 컴퓨터들을 연결하고,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하는 통신 프로토콜로 근거리 및 원거리 모두에 사용된다

- IPX/SPX : 제록스의 IDPSPP를 개선하여 사용되었던 Novel Netware 프로토콜이다

- OSPF : 라우팅 프로토콜의 하나로 가장 짧은 경로를 채택한다

 

ping

- ping ICMP 메시지를 사용한다

- 인터넷이나 네트워크가 안될 때, 네트워크에 있는 호스트들의 상태를 점검할 때 사용하는 응용프로그램이다.

- TCP/IP 연결성을 테스트할 수 있다

- Echo Request 메시지를 보내고 해당 컴퓨터로부터 ICMP Echo Reply 메시지를 기다린다

 

ARQ(Automatic Repeat request)

- ARQ 자체가 자동 재전송 요청이라는 의미다.

- 뒷자리가 ARQ로 끝나는 모든 기법들이 자동 재전송 기법에 해당한다

 

전전에러수정(FEC)

- 순방향으로 비트 오류를 정정하는 기술이며, 패리티체크 등이 포함된다

 

FinTech

- Finance + Technology로 금융과 기술의 합성어다.

 

로컬 사용자 계정

- 각 컴퓨터별로 자체적으로 생성하고 사용하는 계정이다

- 네트워크의 도메인 컨트롤러를 통해 도메인 사용자의 계정을 인증 받아 로그인하지 않아도 된다

- 서버에 로그인 할 수 있는 계정으로 일반적인 계정은 모두 로컬 로그인 계정에 해당한다

 

성능 모니터 도구

- 데이터 수집 집합기는 시스템의 성능(CPU, 메모리 등)을 보여준다. 일반 사용자들의 데이터를 보여주지 않는다

- 성능 모니터에서는 성능 매개변수에 해당하는 선택된 카운터에 대해 통계정보를 보여준다

- 리소스 모니터는 시스템의 4개 핵심 리소스를 대상으로 계속 카운터를 캡처해 보여준다

- 안정성 모니터는 1부터 10까지의 안정성 인덱스를 이용해 시스템 안정성을 보여준다. 10이 안정성이 높은 것

 

아파치 웹서버의 서버 측 에러 메시지 내용

- 501(Not Implemented) : 클라이언트의 서비스 요청 내용 중에서 일부 명령을 수행할 수 없을 경우

- 502(Service Unvailable) : 게이트웨이의 경로를 잘못 지정해서 발생된 경우

- 503(Bad Request) : 서버 측의 트래픽 과부하로 서비스가 불가한 경우

- 500(Internal Server Error) : 클라이언트 요청 내용에는 이상이 없지만, 서버 측에서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서비스할 준비가 되지 않은 경우

 

Hyper-V

- Hyper-V 관리자 콘솔의 스냅숏은 특정 시점을 사진 찍듯(Snapshot) 기록하는 기능이다.

- MS Virtual PC와는 달리 하이퍼바이져 가상화 기술에 기초한다.

- Hyper-V를 지원하는 서버 에디션이 반드시 부모 파티션에 설치되어야 한다.

- Hyper-V에서 가상 디스크는 vhd라는 확장자의 파일로 처리된다.

 

가상 랜

- 한 대의 스위치에서 네트워크를 나누어 마치 여러 대의 스위치처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 하나의 포트에 여러 개의 네트워크 정보를 전송할 수 있게 해준다

 

Hub : 스타 토폴로지를 가진 네트워크에서 노드들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한다.

Repeater : 단순히 신호의 세기를 증폭시킴으로써 케이블 최대 길이의 한계를 넘어 네트워크 길이를 연장시킨다.

스위치 : 각 패킷의 MAC Address를 모니터링하여 모든 세그먼트로 보내질 필요가 없는 패킷을 필터링한다.

 

대역폭이 가장 넓은 전송매체 : Fiber Optic(광통신) 케이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