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급 기출문제 오답 풀이(2020.05.24)
1과목
Internet layer를 구성하는 프로토콜들의 헤더
- IP 헤더의 TTL 필드는 Looping에 의해 패킷이 영구히 떠도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필드이다.
- IP 헤더의 프로토콜 필드는 상위 계층의 프로토콜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필드이다.
- ICMP Echo Request 패킷의 Type, Code는 각각 ‘0’, ‘8’이다.
- ARP Request 패킷의 목적지 MA Address는 브로드캐스트인 ‘FF-FF-FF-FF-FF-FF’이다.
브로드캐스트
- 어떤 특정 네트워크에 속한 모든 노드에 대하여 데이터를 송신할 때(수신을 지시할 때) 사용
- 단일 호스트가 아닌 모든 호스트에 할당한다.
OSPF(Open Shortest Path First)
- IP 라우팅 프로토콜의 한 종류로 규모가 크고 복잡한 네트워크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RIP의 최대 경로 홉 수 한계를 개선한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 최소 경로 홉 수를 기반으로 경로를 설정하는 RIP와는 달리, 홉 수와 회선의 상태 변화에 따른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고, 사용자에 의한 경로 지정, 복수 경로 선정, 가장 경제적인 경로의 지정 등 추가적인 기능도 제공한다.
사설 IP 주소를 사용 중인 업무용 PC로 원격 데스크톱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업무용 PC에 반드시 로그인 비밀번호를 설정해 두어야 함.
ICMP의 메시지 유형
- Destination Unreachable : 라우터가 목적지에 데이터를 보낼 수 없을 때 송신자에게 보내는 메시지
- Echo Reply : Echo Request를 받은 호스트가 돌려보내는 메시지
- Time Exceeded : 패킷이 살아있을 수 있는 제한을 두는 시간 초과 메시지
Gratuitous ARP : 자신의 IP 주소와 MAC 주소를 브로드캐스팅하는 일종의 자기소개 프로토콜
Reverse ARP : MAC 주소를 통해 IP 주소를 알고 싶을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
Inverse ARP : 자신과 연결된 모든 디바이스에 신호를 보내 목적지의 IP 주소를 알아내는 프로토콜
Well-known port
- FTP-Data(20). FTP(21)
- SSH(22). Telnet(23)
- SMTP(25). DNS(53)
- HTTP(80). POP3(110)
- NNTP(119). SNMP(161). HTTPS(443)
2단원
광 통신 시스템의 구성요소
- 발광소자 : 광원,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
- 수광소자 :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
Go-Back-N ARQ
- 에러가 발생한 블록 이후의 모든 블록을 재전송하는 방식
- 수신 측에서 오류 발생(NAK)을 알리면 오류가 발생한 시점으로 돌아가(Go-Back) 해당 시점 이후의 모든 블록을 재전송한다.
- 검사합(checksum) : 에러 검출 기능만 있고, 에러 정정 기능은 없다
- 단일 비트 에러 정정, 해밍코드, 상승코드 : 에러 검출과 에러 정정 기능을 모두 포함하는 기법
데이터링크 계층
-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전송 오류 제어, 흐름 제어, 접근 제어, 주소 지정 등을 담당
SDN(Software Defined Network)
- 개방형 API(오픈플로)를 통해 네트워크의 트래픽 전달 동작을 소프트웨어 기반 컨트롤러에서 제어/관리하는 접근 방식이다.
- SDN은 트래픽 경로를 지정하는 제어 기능과 트래픽 전송을 수행하는 데이터 기능으로 분리되어 있다.
CDM(Code Devided Multicasting, 코드 분할 다중화)
- 스펙트럼 확산 방식 사용
- 동일한 주파수 대역 사용
- 주파수 이용 효율 높음
- 서로 다른 코드를 사용하여 통신하기에 통신 보안이 우수
POSIX
- 네트워크 접근 방법이 아닌, 유닉스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운영체제 인터페이스
네트워크 액세스 방법에 속하는 것
- CSMA/CA, CSMA/CD(Carrier Sense Multe-Access/Collision Detection), Token Pass
패킷 교환 방식
- 패킷은 가변 길이를 갖는다
- 패킷 교환망 과정에서 패킷 손상이 일어날 수 있다
- 패킷은 단편화 될 수 있다
- 패킷은 중복될 수 있다
Nslookup
- 도메인명을 입력하면 IP 주소를 얻기 위한 콘솔 명령어
Ipconfig
- 현재 컴퓨터의 네트워크 설정값(IP Address, 서브넷 마스크, 게이트웨이 등)을 표시해 줌
리눅스 mount
- 해당 파일 시스템이 사용 중이면 ‘mount’가 해제되지 않는다
- UNIX에서 CD-ROM은 마운트를 통해 사용할 수 있다
- 새로운 장치는 mount [장치명] [디렉터리명]으로 마운트 시킨다
- 마운트 해제 명령어는 umount이다
Httpd.conf 파일을 사용하여 Apache 웹 서버를 설정하려 할 때 주요 설정 항목 설명
- ServerRoot : 아파치 웹 서버의 각종 설정 파일이 있는 디렉터리를 지정한다.
- Listen : 아파치 웹 서버가 사용할 기본 포트(80번)를 설정한다.
- DocumentRoot : 웹사이트에 사용될 각종 파일들이 위치한 디렉터리를 지정한다.
- ServerType : 서버의 실행 방법을 지정하며, standalone과 inetd 방식이 있으며, standalone이 디폴트로 설정되어 있다.
Ipconfig/release : DHCP 서버로 현재 할당 받은 IP 주소를 반환(release)=해제 시킴
Ipconfig/renew : IP 주소를 새롭게 갱신 받음
Ipconfig/flushdns : IP 주소와 매칭된 도메인 캐시 정보(DNS)를 흘려 보냄(flush)=없앰
Ipconfig/setclassid : 클래스 ID(classid)를 설정(set)하여 DHCP를 테스트
Netstat
- 프로토콜의 현재 연결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
- TCP 접속 프로토콜 정보, ICMP 송수신 정보(송수신 패킷 수, 충돌 수, 오류 수, 대기 중인 패킷 등), UDP 대기용 Open 포트 상태 등을 제공하나 접속자의 MAC 주소는 알 수 없다.
DNS 레코드 타입
- DNS MX : 도메인의 메일 서버를 식별하여 지정된 메일 호스트에 메일 라우팅을 제공
- DNS A : 도메인 이름으로 호스트의 IP 주소를 확인
- DNS AAAA : 도메인 이름으로 호스트의 IPv6 주소를 확인
- DNS CNAME : 닉네임을 추가
- DNS NS : 보다 다양한 영역에서 DNS 조회가 가능하도록 네임서버 지정
- DNS PTR(Pointer) : A레코드의 반대 기능으로 IP 주소를 통해 도메인 이름을 확인(=DNS RE-VERSE)
- DNS SOA(Start-Of-Authority) : 해당 영역에서 가장 큰 권한을 받은 호스트 확인
Bind 설정 파일 중 존(Zone) 파일의 각 레코드 설명
- $TTL, SOA, NS, MX, A, CNAME 레코드 등으로 구분된다
- SOA 레코드는 Start of Authority의 약자로 존 파일의 전체적인 설정이 시작됨을 나타냄
- $TTL은 특정 네임 서버가 질의하여 가져간 정보를 보관하고 있을 시간을 지정함
- MX 레코드는 도메인의 메일 서버를 식별하여 지정된 메일 호스트에 메일 라우팅을 제공함
- A 레코드는 호스트 이름에 대한 IP Address를 설정
SOA 레코드에서 세부 설정 항목
- Refresh : 검사 주기를 설정하는 항목(새로 고침 간격)
- Serial : Zone 파일의 최종 갱신 데이터
- Retry : 연결이 되지 않을 때 재시도하는 주기(다시 시도 간격) 설정
- Expire : 연결이 되지 않을 때 만료되는 시간 설정
- minimum TTL : 자신의 zone에 있던 정보를 다른 네임 서버가 가져갔을 때, 그 자료의 유효시간 설정
Deamon(데몬)
- 사용자가 직접 제어하지 않아도 백그라운드에서 돌면서 필요 시 동작하고 서비스 제공이 끝나면 다시 대기 상태로 돌아가 이벤트가 발생하기를 기다리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방화벽을 이용하여 FTP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접속 허용 대상의 IP가 필요하고 방화벽에서 허용되는 포트번호를 입력해 주어야 한다. 하지만 접속자의 MAC 주소는 방화벽 설정과는 관련이 없다.
Router(config)# = 규칙 생성 명령어
Router(config-if)# = 규칙 적용 명령어
리피터
- 물리 계층 장비로, 전송 신호가 멀어져 신호가 감쇄될 때를 대비하여 신호를 새롭게 반복(Repeat)하여 전달하는 장치로 전송거리 연장을 위한 장비라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