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급 기출문제 오답 풀이(2017.10.22)
1과목.
TCP 헤더
- RST 플래그 : 강제 연결 초기화 용도
- Window Size : 현재 상태의 최대 버퍼 크기를 말함
- Reserved : 미래에 사용하기 위해 남겨둔 예비 필드
- FIN 플래그 : 연결 해제, 회선 최종 종결 용도
RIP 프로토콜
- RIP 메시지는 전송 계층의 UDP 데이터그램에 의해 운반된다.
- 각 라우터는 이웃 라우터들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경로 배정표를 갱신한다.
- 라우팅 프로토콜로서 라우터 간에 경로 설정 정보를 교환하는데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다.
- RIP 프로토콜은 유니캐스팅 프로토콜이다.
- RIP는 일정 시간마다 경로 설정 정보를 주고 받기 때문에 상황 변화에 맞춰서 변경 사항을 전해주지는 않는다. 즉 상황 변화에 즉시 대처하지 못한다.
2과목.
패킷 교환 방식
- 패킷 교환 방식은 교환망을 쓰기에 선로 장애 시 복구가 쉽다.
- 패킷 교환을 위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가 복잡하다.
- 큐잉(queuing) 지연이 존재한다.
- 각 패킷마다 주소를 위한 오버헤드가 존재한다.
데이터 통신망에서 정보를 교환하는 방식
- 회선 교환과 축적 교환(메시지 교환, 패킷 교환)
3과목.
Linux에서 네트워크 설정
- Linux는 Windows 시스템과 같이 완벽한 PnP 기능을 지원하지 못한다.
- LAN 카드 설치는 Linux 커널에 드라이버를 포함시키거나, 필요할 때마다 메모리에 로딩 할 수 있다.
- LAN 카드를 메모리에 로딩 해서 사용하려면 ‘modprobe’ 명령을 사용한다.
Active Directory
- 계층적 디렉터리 서비스를 지원하는 것으로 사용자, 사용자 그룹, 네트워크 데이터 등을 통합 관리하며 개체의 식별자는 변경할 수 있다.
DHCP 서버 구성 시
- 특정 호스트에게 IP 주소 부여를 허가하거나 거부하려면 해당 호스트의 MAC 주소가 필요하다.
/etc/named.conf
- 리눅스의 네임 서버(DNS) 데몬이 시작될 때 가장 먼저 읽는 파일로 여러 개의 영역(zone)에 대한 설정 파일들의 위치 정보를 갖고 있는 파일이다.
fdisk : 파티션 설정 명령어
mount, df, cat /etc/mtab : 마운트 되었는지 확인 시 사용하는 명령어
보안 템플릿
- 로컬 컴퓨터에 보안 템플릿을 적용하려면 보안 구성 및 분석 또는 secedit 명령줄 도구를 사용할 수 있다.
- 보안 템플릿은 계정 정책, 로컬 정책, 이벤트 로그, 시스템 서비스 등을 정의할 수 있다.
- 그룹 정책으로 보안 설정이 확장 되었으나, 조직 구성 단위, 도메인 및 사이트 그룹 정책 개체에 연결되지는 않기 때문에 보안 설정 도구에서 변경된 그룹 정책 객체의 보안 구성을 차례로 여러 컴퓨터에 영향을 준다.
보안 로그
- 시스템에서 발생한 사건 추적에 사용되는 최적의 방법으로, 파일 접근, 시스템 로그온, 시스템 구성 변경과 같은 자원 사용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는데 감사를 사용할 수 있다. 감사를 구성한 동작이 발생하면 동작은 시스템의 보안 로그에 기록된다.
아파치 웹서버의 서버 측 에러 메시지 내용
- 501(Not Implemented) : 클라이언트의 서비스 요청 내용 중에서 일부 명령을 수행할 수 없을 경우
- 502(Service Unvailable) : 게이트웨이의 경로를 잘못 지정해서 발생된 경우
- 503(Bad Request) : 서버 측의 트래픽 과부하로 서비스가 불가한 경우
- 500(Internal Server Error) : 클라이언트 요청 내용에는 이상이 없지만, 서버 측에서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서비스할 준비가 되지 않은 경우
4단원.
NAT방식
- IP Address의 부족과 내부 네트워크 주소의 보안을 위해 사용
- 내부에서는 사설 IP Address를 사용하고 외부 네트워크로 나가는 주소는 공인 IP Address를 사용하도록 하는 IP Address 변환 방식
IPv6 방식
- 늘어나는 인터넷 주소의 수요를 기존의 주소체계인 IPv4 방식으로 감당할 수 없어서 주소 고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개발된 방식
MAC Address
- 이더넷의 물리적인 주소
Switch HUB
- 네트워크 관리와 확장에 도움을 준다.
- 각 포트마다 전용 할당이 가능하고, 연결된 장치 수량에 영향을 받지 아니하며 속도가 떨어지지 않고 사용 가능 장치